[스포츠AI=김건엽 기자] 디플러스 기아부터 DRX, 젠지, T1까지. 2023 LCK 스프링 개막 주차부터 강팀들의 맞대결이 팬들을 기다린다.
디플러스 기아에 새 둥지 튼 '데프트' 김혁규, 친정팀 DRX 만난다
'DK Deft'
ⓒ LCK
2022 LoL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서 기적의 행보를 보여주며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문구를 유행시켰던 DRX는 지난 스토브리그에서 큰 변화와 맞닥뜨려야 했다.
'베릴' 조건희를 제외한 주전 4명('킹겐' 황성훈·'표식' 홍창현·'제카' 김건우·'데프트' 김혁규)이 팀을 떠났기 때문이다.
김혁규도 그 중 한 명이다. DRX 맏형이었던 그는 이제 디플러스 기아의 맏형이 됐다.
김혁규의 새 소속팀 디플러스 기아는 지난 12일 스프링 개막 미디어데이서 선수들이 꼽은 유력 우승 후보로 지목받았다.
10개 팀 중 5개 팀(한화생명·광동·kt·리브 샌드박스·DRX)이 디플러스 기아를 선택했는데 이들은 "경험 많고 라인전이 강력한 선수들이 한 팀에 모여 있어서 까다로울 것 같다. 연습 경기를 했을 때에도 쉽지 않았다"며 디플러스 기아의 강세를 점쳤다.
DRX를 떠난 4명 가운데, 공교롭게도 김혁규가 가장 먼저 친정팀과 상대한다. 18일 디플러스 기아와 DRX의 개막전이 일명 '중꺾마 매치'라고 불리는 이유다.
한 경기 그 이상의 의미가 담긴 'T1-젠지 대전'
'제오페구케'가 여전히 T1을 지킨다
ⓒ T1 공식 SNS
2022년 LCK를 양분했던 T1과 젠지는 개막일 두 번째 경기서 맞붙는다.
T1과 젠지는 LCK를 대표하는 라이벌이다. 최근 3년간 결승전에서만 세 차례(2020 스프링·2022 스프링·2022 서머) 만나 자웅을 겨뤘다.
LCK 10회 우승에 빛나는 T1은 무려 6차례나 '봄의 제왕'을 차지할 정도로 스프링 스플릿에 강하다. 이번 시즌 역시 2022년 내내 호흡을 맞췄던 주전 5명이 그대로 남아 최강팀으로 평가받는다.
상체 라인이 건재한 젠지는 2005년생 원거리 딜러 '페이즈' 김수환과 2002년생 서포터 '딜라이트' 유환중으로 구성된 어린 하단 듀오의 활약 여부에 따라 이번 경기, 더 나아가 2023년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젠지의 수장 고동빈 감독은 미디어데이에서 "7년이나 우리 팀에서 활약했던 '룰러' 박재혁의 공백을 하루아침에 메우기는 쉽지 않지만 김수환이 연습 과정에서 신예답지 않은 안정감을 보여주고 있기에 기대할 만하다"고 밝힌 바 있다.
'슈퍼팀' 한화생명 행보에도 관심 집중
한화생명은 정상 등극을 꿈꾸며 화끈하게 지갑을 열었다
ⓒ 한화생명e스포츠 공식 SNS
지난 스토브리그를 가장 뜨겁게 달군 팀은 단연 한화생명e스포츠다.
2022시즌 주전 전원과 결별을 택한 한화생명은 '바이퍼' 박도현을 필두로 '킹겐' 황성훈, '제카' 김건우, '클리드' 김태민, '라이프' 김정민을 차례로 영입하면서 슈퍼팀을 꾸렸다.
새롭게 주황색 유니폼을 입은 5명 중 롤드컵 우승자만 세 명이다. 박도현은 2021년 에드워드 게이밍(EDG) 소속으로 세계를 제패했고, 황성훈과 김건우는 2022년 DRX에 롤드컵 트로피를 선사했다.
김태민과 김정민 또한 롤드컵 4강 이력을 가진 만큼 한화생명이 스프링에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도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한화생명은 19일 광동 프릭스전을 시작으로 2023시즌 여정에 돌입한다.
2023 LCK 스프링 1주차 대진 및 일정
ⓒ LCK
저작권자 ⓒ 스포츠AI,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