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풀린' LGU+ 정보유출·접속장애에 정부 특별조사

과기부, 경영진엔 강력 경고...원인분석 후 개선책 제시

스포츠AI 승인 2023.02.06 03:16 | 최종 수정 2023.02.06 03:51 의견 0
LG유플러스 로고 [촬영 임성호]

[스포츠AI= 최정용 기자] LG유플러스가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과 인터넷 접속 장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특별 조사를 받게 됐다.

과기정통부를 5일 "주요 기간통신사업자인 LG유플러스의 기본적인 침해 대응 체계가 미흡한 것에 대해 경영진에게 강력히 경고한다"면서 특별조사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달 LG유플러스의 고객 정보 대량 유출과 관련해 꾸린 민관합동조사단을 '특별조사점검단'으로 격상·강화하고 6일부터 고강도 조사에 들어간다.

특별조사단은 개인정보 침해의 종합 원인을 분석하고, 조치 방안과 개선책을 제시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올들어 사이버 공격으로 총 이용자 29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로 경찰 수사를 받은 바 있다.

지난달 29일 새벽에는 3차례에 걸쳐 63분 동안, 그로부터 엿새만인 전날 오후에는 일부 지역에서 59분 동안 유선망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장애 원인은 서버에 대한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으로 추정됐으나 아직 공격의 진원지와 구체적인 방식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특별조사점검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LG유플러스에 책임 있는 시정조치와 개선 조치 이행을 요구하겠다"며 "침해사고 재발을 막도록 주요 정보통신사업자의 침해사고 대응체계 개편 등 제도 개선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도 디도스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전사 위기관리 태스크포스'를 가동했다.

'전사 위기관리TF'에는 황현식 최고경영자(CEO)와 네트워크부문장, 최고기술책임자(CTO), CRO(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 등 주요 경영진이 참여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위기관리TF를 중심으로 한 대응체계를 통해 디도스 공격을 예방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포츠AI,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